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생활에 관한 입체적인 분석에 기초한 여성정책의 수립과 평가를 위해서는 여성의 삶에 대한 종단면 자료의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패널형태 의 종단면 자료의 구축은 여성 개인의 관측 되지 않은 이질성을 통제하여 정책도구의 효과를 보다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여러 종단적 통계분석기법을 응용 하여 정책의 효과성을 추정하고 대상집단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을 설계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2006년부터 여성가족패널(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연구사업을 시작하여 전국 대표성을 갖춘 9,068가구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64세 이하 여성 9,997명을 패널로 구축하여 2007년 1차년도 조사, 2008년 2차년도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그리고 3차년도 조사부터 2년 주기로 조사되었으며, 2018년 7차년 조사를 완료하였습니다.
본 조사는 크게 가구용 설문, 개인용 설문, 일자리용 설문으로 구분되며, 가족, 일, 일상생활의 3가지 주요영역을 바탕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가족실태, 가족가치관, 건강 등에 관해 조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