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징체계/이념구조
- 가치관·태도
-
- 행위구조
- 행위의 연관관계
-
- 실제구조
- 물적토대

※ 여성가족패널조사 설문지는 '데이터>설문지/코드북' 화면 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세가지 영역 속에서 자신의 삶의 방식을 다양하게 꾸려가는 여성집단이 생활세계를 드러낼 수 있도록 함.
- 여성 개인에 있어서 ‘일’(경제활동)을 주로 하는 집단, ‘가사노동을 주로 하는 집단’, ‘일과 가사노동을 비슷한 비중으로 하는 집단’ 나아가 이런 집단을 혼인상태에 따라서 혹은 연령이나 지역에 따라서 다시 세분화할 수 있을 것이고, 각 집단별로 의식과 행위양식, 가족관계의 변화 요인과 흐름을 포착할 수 있을 것임.
- 경제활동과 가사노동을 뺀 나머지 일상에서의 여성의 여러 활동들 또한 여타의 영역에 영향을 받고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생활영역임.
여성의 삶의 방식은 출생시기부터 시작하여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남성과 다른 신체적, 환경적 특성을 가지고 구성되며,특히 결혼과 출산, 양육, 부양 등 여러 생애사건들(life events)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여성의 생애주기에 있어 중요시기(critical period)나 사건을 고려한 조사 항목들을 추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이러한 삶의 영역들과 양식들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행위 구조와 양식은 기본적으로는 개인의 물적 토대에 의하여, 다른 층에서는 이념이나 가치관 등에 의하여 영향을 상호 역동적으로 주고받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
이러한 영역과 생애사건들이 동일 개인의 생애에 있어서 어떠한 변화와 역동성을 보이는지, 나아가 세대를 지나가면서 누적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를 볼 수 있는 것도 추적조사에서 포착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