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을 불러오는 중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여성가족패널

여성가족패널 조사 내용의 개념도

  • 상징체계/이념구조
    가치관·태도
  • 행위구조
    행위의 연관관계
  • 실제구조
    물적토대
일(labor), 여성, 가족(family), 일상(여가)
  • 생애주기
  • 청년기
  • 중년기
  • 노년기

※ 여성가족패널조사 설문지는 '데이터>설문지/코드북' 화면 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여성가족패널’ 조사의 영역은 여성개인을 둘러싼 환경을 크게 일(경제활동), 가족, 그리고 더 큰 범주의 일상생활(여가) 세가지영역으로 나누어 개념화 할 수 있음.

  • 이 세가지 영역 속에서 자신의 삶의 방식을 다양하게 꾸려가는 여성집단이 생활세계를 드러낼 수 있도록 함.

    • - 여성 개인에 있어서 ‘일’(경제활동)을 주로 하는 집단, ‘가사노동을 주로 하는 집단’, ‘일과 가사노동을 비슷한 비중으로 하는 집단’ 나아가 이런 집단을 혼인상태에 따라서 혹은 연령이나 지역에 따라서 다시 세분화할 수 있을 것이고, 각 집단별로 의식과 행위양식, 가족관계의 변화 요인과 흐름을 포착할 수 있을 것임.

    • - 경제활동과 가사노동을 뺀 나머지 일상에서의 여성의 여러 활동들 또한 여타의 영역에 영향을 받고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생활영역임.

세 가지 영역은 여성의 일생을 지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고 재구조화되는 특징을 지니므로, 여성의 생애주기(life cycle) 이동을 패널조사의 한 축으로 함.

  • 여성의 삶의 방식은 출생시기부터 시작하여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남성과 다른 신체적, 환경적 특성을 가지고 구성되며,특히 결혼과 출산, 양육, 부양 등 여러 생애사건들(life events)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여성의 생애주기에 있어 중요시기(critical period)나 사건을 고려한 조사 항목들을 추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이러한 삶의 영역들과 양식들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행위 구조와 양식은 기본적으로는 개인의 물적 토대에 의하여, 다른 층에서는 이념이나 가치관 등에 의하여 영향을 상호 역동적으로 주고받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

  • 이러한 영역과 생애사건들이 동일 개인의 생애에 있어서 어떠한 변화와 역동성을 보이는지, 나아가 세대를 지나가면서 누적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를 볼 수 있는 것도 추적조사에서 포착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