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을 불러오는 중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여성가족패널

가중치의 필요성

  • 종단연구(longitudinal survey)에서는 상이한 추출확률, 상이한 응답확률, 상이한 추적확률로 인하여 횡단면가중치(cross-sectional weights) 뿐만 아니라 종단면가중치(longitudinal weights)가 필요함.

    • - 여성가족패널조사는 가구와 가구에 존재하는 19세 이상 64세 이하의 여성들을 표본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가구가중치와 여성개인가중치가 별도로 작성되어야 함.

    • - 여성가족패널조사의 1차년도 자료는 횡단면자료이므로 1차년도 자료에는 횡단면가중치만을 작성하였으나, 향후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종단면가중치도 동시에 작성됨.

가중치의 종류

  • - 가구가중치: 분석단위가 가구일 때 사용할 수 있는 가중치

  • - 기록가구원가중치: 분석단위가 가구에 존재하는 적격여성가구원일 때 사용할 수 있는 가중치

  • - 응답가구원가중치: 분석단위가 가구에서 응답한 적격여성가구원일 때 사용할 수 있는 가중치

추출 확률

  • 가구와 가구원이 표본에 추출되어서 응답할 확률은 다음과 같음.

    • - 표본가구추출확률 = (ED추출확률) x (ED 내에서 적격가구가 표본가구로 추출되고 가구용 설문지에 응답할 확률)

    • - 표본기록가구원추출확률 = (ED추출확률) x (ED 내에서 적격가구가 표본가구로 추출 되고 가구용설문지에 응답할 확률)

    • - 표본응답가구원추출확률 = (ED추출확률) x (ED 내에서 적격가구가 표본가구로 추출 되고 적격가구원이 개인용 설문지에 응답할 확률)

    • ED추출확률은 모두 각 가구가 속한 지역의 가구수총수의 제곱근에 비례함.

    • ED 내에서 적격가구가 표본가구로 추출되고 가구용설문서에 응답할 확률= (총접촉 적격가구수/총적격가구수) × (접촉적격가구 중에서 가구용설문서에 응답할 확률)

    • ED 내에서 적격가구가 표본가구로 추출되고 적격가구원이 개인용설문서에 응답할 확률 = (총접촉적격가구수/총적격가구수) × (접촉적격가구 중에서 적격가구원이 개인용설문서에 응답할 확률)

  • 세 가지 모든 경우에 체계적인 응답률 계산이 불가능하였기에, 최종적으로는 각 ED 내에 거주하는 가구의 경우, 체계적인 차이가 없다는 가정 하에서 기본 가중치를 다음과 같이 산출함.

    • - 가구가중치 기본가중치(XW1_H) = (ED 추출확률)×(적격응답가구/적격가구)

    • - 기록가구원 기본가중치(WX1_PE) = (ED 추출확률)×(적격응답가구/적격가구)

    • - 응답가구원 기본가중치(WX1_PE) = (ED 추출확률)×(적격응답가구/적격가구)

  • 세부적인 내용과 절차는 <2008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사업보고서 및 제1차 기초분석보고서> 및 <여성가족 패널브리프 제4호> 참고.